익명수다방

커뮤니티운영정책

죽도록 일하다 정말 죽는데
익명등록일2013.06.06 12:10:11조회4,672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 업무로 말미암은 극도의 피로, 이른바 소진현상(burnout)을 경험한 고용 노동자의 사망률이 높다는 외국 연구결과가 나왔다. 에너지가 바닥날 때까지 죽도록 일하다가는 정말 일찍 죽을 수 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보여준 것.보건의료 분야 시민사회 연구공동체 시민건강증진연구소는 6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0년 핀란드 연구논문 산업 노동자의 총 사망률 예측변수로서의 소진현상(Burnout as a predictor of all-cause mortality among industrial employees: a 10-year prospective register-linkage study)을 소개했다.연구자들은 10년 넘는 기간 노동자들을 추적 관찰한 결과를 토대로 소진현상을 만성적인 업무 스트레스로 말미암은 심리적 반응으로, 노동자 고유의 에너지 자원을 점차로 고갈시키며, 일시적인 피로(fatigue)와는 달리 과거의 누적된 경험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그리고 고갈(exhaustion), 냉소(cynicism), 직업 능률 감소 등 세 가지 요소를 측정하고 합산해 소진현상이란 지표를 산출했다.분석 결과 직업 능률의 감소는 총 사망률(all-cause mortality)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냉소 수준은 높을수록 사망률이 높았지만, 사회경제적인 상태를 고려했을 때는 그 효과가 상쇄됐다.이에 반해 고갈 경험은 사회경제적인 상태와 건강 및 직업 관련 위험 요소를 고려했을 때도 전체 사망률을 끌어올리는 양상을 나타냈다.이 세 가지 요소의 총합인 소진현상을 기준으로 분석할 때도, 사회경제적인 상태, 건강 및 직업 관련 위험요소를 참작하더라도 사망률은 증가했다.소진현상이 총 사망률에 영향을 준 결과이다.시민건강증진연구소는 "이 연구를 뒤집으면 소진현상을 줄이면, 즉 쉬어 준다면, 사망률이 줄어든다는 뜻"이라며 "대표적 복지국가인 핀란드 노동자들보다 훨씬 긴 시간을 일하는 한국 노동자들의 상황은 더 심각한 만큼 국가 차원에서 소진현상을 예방하거나 완화하기 위한 장치들을 고민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우리나라 노동자 연평균 노동시간은 2011년 기준 2천90시간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멕시코에 이어 두 번째로 길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수 등록일
225 행복하다.(22) 익명 4486 13.09.06
224 duwks ekEhrrkxdk(34) 익명 4670 13.09.06
223 분명 음모론(42) 익명 4667 13.09.05
222 여기서 사라져야 할 아가덜(19) 익명 4803 13.09.05
221 임대사장~ (17) 익명 5063 13.09.05
220 임대사장새끼하고 당번인데 왕인분하고 싸우면 누가 이겨요?(42) 익명 5270 13.09.05
219 악덕사장 밑에서 일하는 지배인 .....(13) 익명 3672 13.09.05
218 상종안하는게 최선!!(46) 익명 5062 13.09.05
217 꼴통(19) 익명 3636 13.09.04
216 모텔업 쓰레기장(22) 익명 5020 13.09.03
215 졸라웃기넹(19) 익명 4257 13.09.03
214 하이에나같은 놈(25) 익명 4874 13.09.03
213 .(18) 익명 4635 13.09.02
212 고지혈증에 모가좋은고?(26) 익명 4514 13.09.02
211 청소하다가(30) 익명 3593 13.09.02
210 (80) 익명 4395 13.08.30
209 박사장(96) 익명 4795 13.08.30
208 짜증짜증(77) 익명 4676 13.08.30
207 밥같은밥을 먹고싶다.(38) 익명 4830 13.08.29
206 띠바라2(33) 익명 4356 13.08.28
주식회사 호텔업디알티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 691 대륭테크노타운20차 1807호 | 대표이사: 이송주 | 사업자등록번호: 441-87-01934 | 통신판매업신고: 서울금천-1204 호
| 직업정보: J1206020200010 | 고객센터 1644-7896 | Fax : 02-2225-8487 | 이메일 : [email protected]
Copyright ⓒHotelDRT Corp.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