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중소형 민간건축공사 집중 안전점검

300여 명 분야별 전문가와 합동으로 실시



서울시가 1ë§Œ ㎡ 미만의 중·소 규모 공사 중 ì² ê±°, 굴토, 크레인 등 사고 위험이 높은 공종에 대해 집중 안전점검을 실시한다. 


올해 3ì›” 기준의 ê±´ì¶• 인·허가 통계상 서울시의 민간건축 공사장은 4,200ì—¬ 개소로, 이 중 1ë§Œ ㎡ 미만의 중·소형 공사장은 90% 이상으로 3,800ì—¬ 개소에 달한다. 


이 중 지하 1층 이상을 굴착하는 공사장은 2,300ì—¬ 개소, 지하층이 없는 공사장은 1,500ì—¬ 개소다. 


서울시는 3,800ì—¬ 개소에 달하는 중·소형 공사장 중 위험듭급이 높은 공사장 1,400ì—¬ 개소를 선별해 ì² ê±°, 굴토, 크레인 등 취약 공종을 대상으로 서울시 건축안전자문단 300명을 투입해 자치구 건축안전센터에서 총 4,200회의 안전점검을 실시한다. 


집중 안전점검 계획 수립해 실시

서울시는 중·소형 민간건축 공사장 집중 안전점검계획을 자치구 건축안전센터와 사전협의 과정을 통해 확정했으며 주요 진행 절차는 점검 대상 선정-점검 신청-현장 점검-보완 등 후속조치-결과관리 및 보고 과정을 거친다.


ìš°ì„ , 자치구 건축심의 분야별전문위원회 또는 구청장 직권으로 위험공사장을 선정하게 된다. 위원회에서 심의 및 자문을 통해 위험등급을 부여하고 이 중 상, 중으로 등급이 부여된 공사장은 위험공사장으로 선전된다. 


또 공사장 주변 민원 중 안전상 불안한 건축물이 있거나 부실공사에 대한 민원이 제기될 경우, 건축주 또는 감리자가 안전점검을 자치구에 요청하는 경우 등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자치구청장이 직권으로 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점검 신청은 점검 대상 공사장의 안전관리를 감독하는 현장 감리자가 안전관리 감리업무 수행사항을 사전 검토한 후 자치구에 신청하도록 했다. 이는 적발 위주의 불시 점검보다 현장의 ê±´ì¶• 관계자가 자발적으로 안전관리 업무를 체계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셋째, 현장 점검은 분야별 전문가가 위해요인을 중점적으로 점검하고 구청 직원은 현장 감리의 안전관리 실태를 중점 점검한다. 


서울시는 철거는 구조분야 기술사, 굴토는 토질 및 기초 기술사, 크레인은 건설기계 기술사 등 분야별 전문가가 현장 위해요인을 집중점검하도록 하고 구청 직원은 현장감리가 안전관리를 잘하고 있는 지 점검해 전반적이고 적정한 안전관리가 이뤄지도록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현재 50명이던 건축안전자문단 위원을 300명으로 확대개편해 각 구청별 안전점검을 지원한다. 서울시는 현재 각 분야별 전문기관 및 단체, 학계의 추천 의뢰 중이다. 


넷째, 서울시는 점검에 따른 지적 사항은 반드시 보완 후 공사토록 하고, 현장감리가 상주하지 않거나 설계대로 공사하지 않을 경우처럼 중대한 위반사항이 있는 경우 ê±´ì¶• 관계자에 대해 행정처분을 조치할 예정이다. 


다섯째, 차지구는 점검실적을 분기별로 서울시에 제출하고 점검실적 현황관리를 비교 평가해 공사장 안전관리 개선 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등 지속적인 안전관리에 반영될 수 있도록 체계화해 나갈 예정이다. 


올 3월까지 지역건축안전센터 설립이 완료되는 자치구는 총 17개구이며, 나머지 8개 구는 올 하반기까지 설립을 완료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호텔업,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